동주 매거진MAGAZINE

칼럼
성추행 경찰조사 불출석, 법적으로 발생하는 3가지 불이익
법무법인동주
본문

성추행 경찰조사
 


성추행 혐의로 경찰로부터 출석 요구를 받았다면,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정당한 사유 없이 조사에 불응할 경우, 단순한 일정 지연이 아닌 법적으로 심각한 불이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경찰조사를 무시했을 때 발생하는 구체적인 문제점과 대응 방안을 명확하게 알려드립니다.




▼ 성추행 경찰조사, 자주 묻는 질문 미리보기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성추행 경찰조사에 불출석하면 어떤 불이익이 발생하나요?

A. 수사 비협조로 간주되어 체포영장이 발부될 수 있으며 이는 구속수사로 전환될 가능성을 높입니다. 도주 및 증거인멸 우려가 있는 피의자로 분류되기 때문입니다.

Q2. 조사에 응하지 않으면 혐의를 인정한 것으로 간주되나요?

A. 법적으로 혐의를 인정한 것은 아니지만, 스스로 해명할 기회를 상실하여 피해자 진술과 증거만으로 사건이 종결될 수 있어 사실상 혐의가 인정되는 결과로 이어질 위험이 높습니다.

Q3. 불출석 상태에서 체포영장이 나오면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요?

A. 즉시 변호인의 조력을 받아야 합니다. 불출석 기록은 도주 우려의 명백한 근거가 되어 방어권 행사에 큰 제약이 생기므로 신속하게 대응해야 합니다.




47a235e97b9869920dd672bb03153f79_1759205178_5072.jpg


 


1. 혐의 회피 시도, 강제 수사로 이어집니다.


성추행 혐의로 소환 통보를 받고도 합당한 근거 없이 출석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수사기관은 이러한 행위를 두고 ‘사정이 있을 것’이라며 너그럽게 넘어가 주지 않습니다. 오히려 처벌을 피하려는 적극적인 수사 방해 행위로 보고 다음과 같은 단계적 압박을 가해옵니다.


  • 공식 문서를 통한 출석 요구

연락을 무시하면, 법적 효력을 지닌 공식 소환장이 등기우편 등을 통해 주소지로 전달됩니다. 이는 압박의 수위를 높이겠다는 신호와 같습니다.


  • 신병 확보를 위한 체포 영장 신청

반복적인 소환 불응은 ‘도주할 우려가 크다’는 판단의 결정적 근거가 됩니다. 수사기관은 검사를 통해 법원에 신병 확보를 위한 체포 영장을 신청합니다.


  • 구속 수사 가능성 증가

영장에 의해 강제로 신병이 확보되면 불구속 수사 원칙은 무의미해집니다. 이 경우 도주 우려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 유치장 등에 구금된 상태로 조사를 받게 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혐의를 다투어야 하는 사안이라면 성추행 경찰조사를 회피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조사에 성실히 임해 무고함을 주장해야 합니다. 시간을 끄는 행위는 상황을 악화시킬 뿐, 결코 유리한 결과를 가져다주지 않습니다.


2efe7d225a0ae72a72d9009946d9aafd_1760440017_447.png


2. 성추행 경찰조사에 불출석하면 어떻게 되나요?

이는 해명할 기회를 스스로 걷어차는 행위와 다름이 없습니다. 피의자는 조사 과정에서 자신에게 불리한 진술을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성추행 경찰조사에 출석했을 때 행사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소환 자체를 거부하는 것은 스스로를 변호할 최소한의 기회마저 포기하겠다는 선언과 같습니다.


  • 고소인 주장 위주로 사건 재구성

피의자의 해명이나 반박이 전무한 상태에서 수사는 고소인이 제기한 주장과 제출한 자료를 중심으로만 진행됩니다. 사건은 피의자의 의견이 배제된 채 일방적으로 구성됩니다.


  • 유죄를 전제로 한 수사 흐름

피의자의 입장이 고려될 여지가 없으므로 수사는 자연스럽게 고소인의 주장을 기정사실화하고 혐의를 입증하는 방향으로만 흘러갑니다.


  • 재판부의 부정적 심증 형성

수사 기록에 남은 비협조적인 태도는 재판 과정에서 ‘반성의 기미가 없는 피고인’이라는 부정적 인상을 줍니다. 이는 최종 형량을 결정할 때 매우 불리하게 작용합니다.


2efe7d225a0ae72a72d9009946d9aafd_1760440031_2107.jpg
 


3. 성추행 경찰조사 출석 안 했는데 체포 영장 발부됐어요.

계속된 소환 불응 끝에 체포영장이 집행되어 강제로 수사기관에 가게 되면 법률적으로나 심리적으로나 돌이킬 수 없는 타격을 입게 됩니다. 수사기관은 피의자를 도주를 시도한 인물로 판단하고 수사 기간 내내 신병을 확보하기 위해 구속영장을 청구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무엇보다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불리한 진술을 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극심한 압박감은 판단을 흐리게 만들어 사실과 다른 내용이나 함구해야 할 이야기를 하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막을 유일한 방법은 수사기관의 첫 통보를 받은 직후, 법률 전문가를 통해 경찰조사사 일정을 협의하고, 혐의의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한 뒤 방어 전략을 완벽하게 준비하여 조사에 임하는 것입니다. 합당한 불출석 사유가 있다면 이를 공식적으로 전달하여 강제 수사 절차 자체를 막아야 합니다.

사건은 외면한다고 해서 사라지지 않습니다. 신속하고 전략적인 정면 대응만이 이 위기에서 벗어날 유일한 해법임을 반드시 기억해야 합니다.



47a235e97b9869920dd672bb03153f79_1759205178_5776.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