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주 매거진MAGAZINE

칼럼
성추행공소시효 애매하게 알고 있어서는 안됩니다. 기억하셔야할 3가지
법무법인동주
본문

"성추행공소시효“




✅ 성추행도 공소시효가 있는 게 맞나요? 어떻게 설정되어 있을까요?


7188f075ced1a9fb981893ca76d3c9d6_1761885358_4339.jpg

안녕하세요. 진심으로 듣고 법으로 돕는 11년차 성범죄전문변호사 이세환입니다.

성추행은 발생 범위가 매우 넓은 편이라 사건 발생 이후 오랜 시간이 지난 뒤 신고되는 사례가 상당히 많습니다.
당시에는 신고할 용기가 없다거나, 피해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한 상황이 많기 때문이지요.

성추행공소시효는 법에서 명확히 정해져 있어 일정 기간이 지나면 형사처벌이 불가한 경우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성추행 유형이 다양하고, 유형마다 공소시효 기준이 달라지는 구조라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어렵고 낯설 수 있는 성추행공소시효 전체 구조를 정리해드려보겠습니다.
궁금한 부분이 있으신 분들은 끝까지 집중해보시면 좋겠어요.


⭐ 1. 성추행공소시효는 유형별로 다르게 설정됩니다

성추행은 여러 형태로 나뉘며, 가장 대표적인 범죄가 강제추행입니다.
폭력이나 협박을 사용한 추행이라고 규정되어 있지만, 현실에서는 큰 폭력이 없어도 상대 의사에 반해 추행이 이뤄졌다면 강제추행 성립이 가능합니다.

강제추행 공소시효: 10년

다음은 준강제추행입니다.
상대가 심신상실 또는 항거불능 상태에 놓인 틈을 이용해 추행한 상황을 말하며, 이 경우에도 다음과 같이 적용됩니다.

준강제추행 공소시효: 10년

사람이 매우 밀집한 공공장소에서 발생한 공중밀집장소추행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조금 더 짧은 기간이 설정됩니다.

공중밀집장소추행 공소시효: 5년

또한 지위나 업무상 영향력을 이용해 추행한 업무상 위력추행도 존재합니다.

업무상 위력 등에 의한 추행 공소시효: 5년

✔ 표로 정리

  • 일반 강제추행 / 준강제추행 → 10년

  • 공중밀집장소추행 → 5년

  • 업무상 위력추행 → 5년


⭐ 2. 성추행공소시효, ‘특별 규정’이 존재하는 경우

앞서 설명한 기준은 일반적인 성추행 사례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특별히 예외로 다뤄지는 케이스가 존재합니다.


✅ 1) 피해자가 미성년자였던 경우

일반적으로 공소시효는 범행 종료 시점부터 시작되지만,
아동·청소년 대상 성추행은 다음 규정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아청법 제20조(공소시효 특례)
① 공소시효는 피해자가 성년에 달한 날부터 시작
③ 피해자가 13세 미만이면 공소시효 없음

즉,

  • 피해자가 미성년자 → 성인이 된 시점부터 공소시효 진행

  • 피해자가 13세 미만 → 공소시효 없음


✅ 2) 피해자가 장애인이었던 경우

정신적·신체적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성추행도
공소시효 적용 없음으로 규정됩니다.


⭐ 3. 성추행공소시효 ‘중단·연장’ 규정도 존재합니다

✅ 공소시효 중단

형사소송법 제253조는
범죄자가 형사처벌을 피하려는 목적으로 해외에 머무는 동안은 **공소시효가 정지(중단)**된다고 규정합니다.

즉,
해외 도피로 시간만 보내면 공소시효가 끝날 것이라 생각하는 경우가 있지만,
그 기간은 전혀 소멸되지 않고 그대로 정지됩니다.


✅ 공소시효 연장

성범죄는 별도로 공소시효 연장 규정도 존재합니다.
DNA 일치와 같은 명백한 과학적 증거가 있을 경우,
기존 공소시효에서 추가로 10년 연장됩니다.

따라서 본인이 “이미 공소시효가 끝났겠지”라고 판단하더라도
정확히 확인해보면 실제로는 아직 살아있는 사건일 가능성도 적지 않습니다.

조금이라도 불확실한 부분이 있다면
혼자 판단하지 말고 성범죄전문변호사 조력을 받으셔야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실 수 있어요.


⭐ 정리하며 — 성추행공소시효는 복잡하고, 혼자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오늘은 성추행공소시효 전반에 대해 정리해드렸습니다.
전문가가 아니라면 세부 기준을 모두 파악하기 어렵고,
사건에 연루된 상황이라면 정신적으로도 매우 힘든 시기일 수 있습니다.

특히 공소시효는

  • 유형별 기준

  • 특례 규정

  • 중단

  • 연장
    이 모두 얽혀 있어, 잘못 판단하면 되돌릴 수 없는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혼자 대응하지 마시고 경험 많은 전문 변호사의 도움을 받으신 뒤
정확한 현실 진단과 대응 방향을 세워보시길 권유드립니다.

혹시 제 설명을 듣고
이야기를 털어놓고 싶어지셨다면 언제든지 편하게 말씀 주세요.
경청하고, 오랜 경험으로 도울 방법을 안내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188f075ced1a9fb981893ca76d3c9d6_1761885328_0328.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