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주 매거진MAGAZINE

칼럼

경찰조사연락 성추행 혐의 진술 어떻게 준비해야 하죠?

페이지 정보

법무법인동주

본문

경찰조사연락 성추행 혐의 진술 어떻게 준비해야 하죠?


경찰조사연락
 


성추행 혐의로 인해 경찰조사연락을 받았을 때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모르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볼 수 있습니다. 


추행범으로 지목된 그 순간 모든 일상이 멈춰버린 듯한 충격 속에서 어떤 대처가 필요한지 몰라 헤맬 수도 있고요. 


하지만 그렇다고 경찰조사를 대충 준비하시면 안 됩니다. 조사의 결과가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기 때문이죠.


따라서 감정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냉정하게 상황을 파악하고 대응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 글에서는 경찰로부터 연락을 받은 후의 절차, 준비해야 할 사항, 조사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점 등을 설명하여 불필요한 실수를 줄이는 데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만약 이번 글을 끝까지 읽으실 경우 조사 과정에서 불이익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목차


1) 성추행 성립 기준은 어떻게 판단될까요? 

2) 경찰조사연락의 의미와 초기 대응

3) 경찰의 연락을 받고 나서 생각해 보아야 할 점

4) 경찰의 연락을 받고 난 후 어떤 절차가 진행되는지


AD_4nXfrdv6dCLtx7yXO2lD78YcyvG4CRKq1DlgnT1xwSLNcn8QlFiVNM4y85UjDO_SbZVRec2QnZLFgMymKu1nuQQVXdHlj7K9hxwq6K5HmHlno-htzucFETW2cprAGqwZkEKsYucuCL24MmgaLPpPLD2nd-SBw?key=QyQT-I1ul1llO4FBdIRAwg

1) 성추행 성립 기준은 어떻게 판단될까요? 

성추행 관련 경찰조사연락을 받았을 때 단순한 신체 접촉도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지 궁금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성추행 혐의는 강제추행죄가 있는데요.


본 죄는 상대방의 의사에 반하여 성적 수치심이나 혐오감을 일으키는 행위를 한 경우 성립합니다. 신체를 밀착시키거나 특정 부위를 만지는 행동이 예시고요.


그렇다면 신체 접촉이 없으면 문제가 되지 않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특정한 행위가 상대방에게 성적 불쾌감을 유발했다면 강제추행으로 인정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한편 강제성에 대해서도 궁금해하실 수 있겠습니다. 법원은 폭행이나 협박을 이용한 경우뿐만 아니라 기습적인 접촉도 강제추행으로 판단합니다. 


그렇다면 우발적인 접촉도 성추행이 될까요? 법원은 우연한 접촉과 의도적인 행동을 구분합니다. 다만 피해자가 성적 불쾌감을 강하게 느꼈다면 법적 책임이 따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체 접촉이 있었다면 의도가 무엇이었는지, 상대방이 어떻게 받아들였는지가 중요해집니다.


이를 보면 성추행 성립 기준은 단순하지 않다는 것이 느껴질 것입니다. 상황과 맥락에 따라 다르게 판단될 수 있죠. 결국 사전에 신중한 행동이 필요하며 성추행 혐의 관련 오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경찰의 연락 의미와 초기 대응


경찰조사연락이 왔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이는 특정 사건과 관련하여 참고인이나 피의자로 조사를 받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단순한 사실 확인일 수도 있고, 혐의에 대한 상당한 의심을 가지고 연락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만약 경찰이 연락을 하였다면 당황하지 말고 연락의 목적을 명확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사건과 관련된 것인지, 참고인 신분인지 피의자인지 등과 관련된 질문을 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한편 경찰 조사 출석 전에 당연히 미리 본인의 입장을 반영하여 준비 작업을 거치실 필요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때 준비해야 할 사항은 무엇이 있을까요? 


먼저 경찰과의 통화 내용이나 출석 요구서를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아울러 조사 일정과 장소를 명확히 파악하고 관련된 자료나 증거를 정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한편 경찰서 방문 시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해야 하며, 조사 과정에서 자신의 입장을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도록 핵심 내용을 정리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3) 경찰의 연락을 받고 나서 생각해 보아야 할 점

경찰조사연락을 받은 후 어떤 점을 유의해야 할까요? 조사 과정에서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①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 불안감이나 억울함 때문에 경찰 조사에서 감정을 앞세운 답변을 하게 되면 오히려 상황이 불리하게 흘러갈 수 있습니다. 차분하게 대응하면서 사실 관계를 명확히 설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② 질문에 대한 답변은 신중하게 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 특히 경찰이 묻는 질문에 대답할 때는 불필요한 내용을 추가하지 말고, 핵심적인 사실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급적이면 간결하면서도 정확한 답변을 하도록 노력하시길 바랍니다.


③ 자신의 입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증거를 확보해야 합니다. 

 : 경찰 조사는 진술을 바탕으로 진행되지만, 객관적인 증거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진술의 신빙성이 낮아집니다. 따라서 문자 메시지, 통화 기록, CCTV 영상 등의 자료를 미리 준비하고 제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④ 경찰 조사 후에도 추가 조사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필요에 따라 추가 자료 제출이나 재출석 요구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이에 대한 대응도 철저히 준비해야 합니다.


4) 경찰의 연락을 받고 난 후 어떤 절차가 진행되는지


그렇다면경찰조사연락을 받으면 이후 어떤 절차가 진행될까요? 기본적으로 경찰 조사는 출석 요구, 진술 청취, 사실 확인의 단계를 거칩니다. 


출석 요구를 받았다면 조사 일정에 맞춰 경찰서에 방문해야 합니다. 만약 정당한 사유 없이 출석하지 않는다면 추가적인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심한 경우 도주, 증거인멸 등을 의심받아 체포의 절차를 밟게 될 수도 있다는 점을 주의해 주셔야 합니다.


한편 출석 후 조사가 시작되면 경찰은 질문을 통해 사실 관계를 확인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자신의 입장을 명확히 밝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억을 떠올리되 사전에 준비한 자료를 바탕으로 차분하게 진술해야 합니다. 


특히 조사 중 일부 질문이 모호하다 판단되면 분명히 정정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심히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생각되면 신중하게 답변해야 합니다. 


조사가 끝난 후에는 경찰이 작성한 조서 내용을 확인해야 합니다. 조서 내용이 실제 진술과 다르다면 수정 요청을 할 수 있으며, 자신의 입장이 정확하게 반영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후 경찰은 수집된 증거와 진술 내용을 검토한 후 사건을 검찰로 송치하거나 혐의 없음으로 종결할 수도 있습니다.



-


경찰조사연락을 받았을 때 당황하지 않고 체계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락을 받은 즉시 조사 목적을 명확히 확인하고, 필요한 자료를 준비해야 합니다. 


조사 과정에서는 신중하게 답변하며 불필요한 내용은 최대한 배제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또한 조사가 끝난 후 조서 내용을 꼼꼼히 검토하고, 자신의 입장이 정확히 반영되었는지 확인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경찰이 연락을 하였다고 해서 무조건 불리한 상황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대응 방식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상황을 정확히 이해하고 적절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 명심해 주시길 바랍니다.


AD_4nXfrdv6dCLtx7yXO2lD78YcyvG4CRKq1DlgnT1xwSLNcn8QlFiVNM4y85UjDO_SbZVRec2QnZLFgMymKu1nuQQVXdHlj7K9hxwq6K5HmHlno-htzucFETW2cprAGqwZkEKsYucuCL24MmgaLPpPLD2nd-SBw?key=QyQT-I1ul1llO4FBdIRAw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