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주 매거진MAGAZINE

칼럼

직업군인강제추행 무조건 군형법 적용되나요? 선처받기 어려운지 궁금합니다

페이지 정보

법무법인동주

본문

직업군인강제추행

AD_4nXeE_k2tXmt97qm0njNJhjIrL2sJPstWFW5ojnxaMN6_CMdtbEX3LJAdElaoCLYt1WT0uQBIHDxf8QI0u2YQGbgJU5Hyy3gJ7fKzZ7qFyzpye5ZNXNVNRdfaTA6gXhY6i0mQVR6X?key=ZCQKc65kOsLOrnzr2AwDkA

AD_4nXeEgKvCGdEVc-RJd3gba2MQWzsdbIcLAF2DwG6SpI7SEeJfisOMdGeux-2SZb5SfsocLAO3-dwA8yY-n5Rb8neYTJWFaPc-H2StiEvEIb6B4mSG6mM-1xRQjEcGlLcQmnLyBNCNGA?key=ZCQKc65kOsLOrnzr2AwDkA


직업군인강제추행, 무조건 군형법 적용되나요? 선처 가능성은?


오늘의 글 목차

  1. 직업군인강제추행, 군형법과 형법 적용 기준

  2. 군형법과 형법 처벌 비교

  3. 동성 간 사건도 동일한 처벌

  4. 징계 리스크와 선처 전략

  5. 실제 기소유예 성공 사례


안녕하세요.
저는 성범죄 사건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법무법인 동주 대표 변호사 이세환입니다.


군인 신분으로 강제추행이 발생하면 일반적으로 군형법이 적용됩니다. 다만 피해자가 민간인이라면 군형법이 아니라 형법에 따라 처벌됩니다.


이 차이를 제대로 이해해야 사건 초기 대응 방향을 정확히 설정할 수 있습니다.


1. 직업군인강제추행, 군형법과 형법 적용 기준

  • 군형법 적용: 가해자와 피해자 모두 군인 또는 군무원인 경우

  • 형법 적용: 피해자가 민간인인 경우

직업군인강제추행 사건에서는 피해자가 군인이냐 민간인이냐에 따라 적용 법률이 달라집니다.
하지만 어느 쪽이든 법원은 엄중한 판결을 내리는 경향이 있어, 법 적용만으로 안심해서는 안 됩니다.


2. 군형법과 형법 처벌 비교

  • 군형법 제92조의2: 강제추행 시 1년 이상 유기징역, 벌금형 없음

  • 형법 제298조: 강제추행 시 최대 10년 징역 또는 1,500만 원 이하 벌금 가능

군형법은 벌금형이 없고 최저형이 높으며, 형법은 벌금형이 있어 상대적으로 선택지가 넓습니다.



그러나 최근 판례에서는 두 법 모두 직업군인강제추행 사건에서 실형 또는 중형이 선고되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AD_4nXfnghiCrCG6Vibqr_MOijIiPVtvdqLpk1RHMM3UNHVFSVctxJBjS22qeKuFbNBqzYXXKFWGSM1fQSsDZW2bemZ8Vpfq6gT4Z9pasjWSOLkKG-D0XsnGyoULxXv43vSG2Mb846Xs?key=ZCQKc65kOsLOrnzr2AwDkA



3. 동성 간 사건도 동일한 처벌

군대 내 사건의 특성상 동성 간 직업군인강제추행이 다수를 차지합니다.
“동성이라 가볍게 넘어가겠지”라는 생각은 금물입니다.


실무에서는 성별에 관계없이 동일한 처벌 규정이 적용됩니다.


특히 “장난이었다”거나 “상대가 예민하게 받아들였다”는 발언은 오히려 불리하게 작용하므로,

범행이 인정된다면 신속하게 혐의를 수긍하고 반성 태도를 보이는 것이 좋습니다.


4. 징계 리스크와 선처 전략

직업군인강제추행은 형사처벌뿐 아니라 군 내부 징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중징계: 파면·해임·강등·정직

  • 경징계: 감봉·견책·근신

징계로 군 생활이 중단될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기소유예무혐의를 목표로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최근에는 선처 기준이 엄격해졌기 때문에, 초기 단계부터 변호인의 조력을 받는 것이 필수입니다.


AD_4nXccVeYa_ZBD8EI9yfK9_24B2jj9DW2Hch3ryiRcKQQmnk0KFbiEn9cuzx9wUFM4P80koU0WCaNll_sEIj86g-0K_7kiV-_gq2e-McRtHQH__LDT9JXweRlv3QydpX576D6aCCuvjQ?key=ZCQKc65kOsLOrnzr2AwDkA



5. 헌팅포차에서 발생한 직업군인강제추행, 기소유예 성공 사례

사건 개요
의뢰인 조 모 씨는 직업군인으로 휴가 중 부산의 헌팅포차를 방문했습니다.


술자리에서 옆에 있던 여성의 허리를 끌어당기고 목에 입맞춤을 하는 행동을 하여, 여성 측이 즉시 경찰에 신고했습니다.


조 씨는 직업군인강제추행 혐의로 입건되어 군 생활과 생계가 위태로운 상황이었습니다.


조력 과정

  • 범행이 명백한 상황에서 피해자와 원만히 합의 진행

  • 음주로 인한 판단 능력 저하, 초범임을 강조

  • 장기간 군 복무와 국가 헌신 이력 부각

  • 피해자의 처벌불원 의사 확보 후 변호인 의견서 제출

결과
검찰은 이러한 사정을 참작하여 기소유예 처분을 내렸고,
조 씨는 형사처벌과 군 징계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었습니다.


결론

직업군인강제추행 사건은

  • 법 적용(군형법 vs 형법)

  • 피해자와의 관계

  • 사건 경위
    에 따라 대응 방식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선처 가능성을 높이려면 초기 수사 단계에서 방향을 제대로 잡는 것이 핵심입니다.


억울한 상황이든, 범행이 인정되는 상황이든 전문 변호사와 즉시 상의하시길 권합니다.


AD_4nXeEgKvCGdEVc-RJd3gba2MQWzsdbIcLAF2DwG6SpI7SEeJfisOMdGeux-2SZb5SfsocLAO3-dwA8yY-n5Rb8neYTJWFaPc-H2StiEvEIb6B4mSG6mM-1xRQjEcGlLcQmnLyBNCNGA?key=ZCQKc65kOsLOrnzr2AwDkA

AD_4nXeE_k2tXmt97qm0njNJhjIrL2sJPstWFW5ojnxaMN6_CMdtbEX3LJAdElaoCLYt1WT0uQBIHDxf8QI0u2YQGbgJU5Hyy3gJ7fKzZ7qFyzpye5ZNXNVNRdfaTA6gXhY6i0mQVR6X?key=ZCQKc65kOsLOrnzr2AwDk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