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주 매거진MAGAZINE

칼럼
성범죄무고죄 역고소, 섣불리 진행하면 절대 안 되는 이유
법무법인동주
본문

성범죄무고죄
 


억울한 성범죄 혐의로 수사받는 과정은 그 자체로 상당한 정신적 고통을 유발합니다.


힘든 법적 절차 끝에 무혐의나 불송치 결정을 받았다면 허위 신고를 한 상대방에게 법적 책임을 묻고 싶을 텐데요.


어쩌면 성범죄무고죄 역고소를 고려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과정일지 모릅니다.


다만 감정적인 판단만으로 역고소를 진행하는 것은 조심해야 합니다.


실제로 무고죄 고소 사건이 실제 처벌까지 이어지는 비율은 통계적으로 매우 낮습니다. 


법적으로 무고죄 성립 요건이 상당히 까다로운 데다 입증하기도 어렵기 때문입니다.



f4d7c9d78fe718e2cabbdea11bac47ff_1757908895_11.jpg


나의 무혐의가 상대방의 유죄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성범죄무고죄 역고소를 고려하는 분들이 가장 먼저 하는 오해는


본인이 받은 ‘무혐의’ 처분이 곧 상대방이 ‘허위 신고’를 했다는 법적 증거가 된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두 가지는 법적으로 완전히 별개의 문제입니다.


혐의없음(무혐의) 처분은, 수사기관이 피의자의 유죄를 입증할 증거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했을 때 내려집니다.


‘고소인의 주장이 거짓말이었다’는 사실을 법적으로 확정한 것이 아닙니다. 


고소인은 사실관계에 대한 착각이나 주관적인 해석의 오류가 있었을지라도 본인이 기억하고 믿는 바에 따라 진술했을 수 있습니다.


법원은 이를 고소인의 정당한 권리 행사로 보기 때문에 단순히 결과가 무혐의로 나왔다는 이유만으로 그 사람에게 허위 신고의 책임을 묻지 않습니다.



fe4b3fe7de613328f1d0ce249db0454b_1762162938_1769.png
 

첫 번째 성립 요건: 객관적 허위사실의 입증

상대방의 성범죄무고죄 처벌을 위해서는, 고소 내용이 객관적으로 명백한 허위사실임을 입증해야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허위’의 법적 기준입니다.


신고 내용에 다소의 과장이 포함되어 있거나 주관적인 감정이 섞여 있다고 해서 그것이 곧 법적인 허위사실이 되지는 않습니다.


무고죄가 성립하려면 신고 내용의 핵심적인 부분이 객관적 진실과 명백하게 배치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그날 그 장소에서 만난 사실 자체가 없다”거나 “금전 거래가 전혀 없었다”는 주장은


알리바이나 금융 기록을 통해 객관적으로 반박이 가능한 허위사실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남이나 접촉은 있었는데, 그 과정에서의 분위기나 대화의 뉘앙스를 다르게 진술한 것이라면 이는 허위사실로 인정받기 매우 어렵습니다.



fe4b3fe7de613328f1d0ce249db0454b_1762162952_617.png
 

두 번째 성립 요건: 고의성의 입증


설령 상대방의 주장이 허위사실임을 입증했다 하더라도 모든 것이 끝난 것은 아닙니다.


상대방에게 ‘타인을 형사처벌 받게 할 목적’‘자신의 신고 내용이 허위라는 인식’이 있었음을 증명해야 하기 때문인데요.


상대방의 내심의 의사를 입증해야 하는 문제이기에 어려울 수밖에 없습니다.


상대방이 신고할 당시에 자신의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명확히 알면서도


오직 피고소인을 처벌받게 할 목적으로 고소를 진행했다는 점이 증명되어야 합니다.


만약 상대방이 “나는 정말로 그렇게 믿고 있었다. 나중에 알고 보니 내 기억이 잘못되었을 뿐, 거짓말을 할 의도는 없었다”고 주장하면


그 고의성을 법적으로 입증하기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습니다.



fe4b3fe7de613328f1d0ce249db0454b_1762162964_3889.png
 

감정적 대응이 아닌, 법리적 접근이 필요하다


성범죄무고죄 역고소는 감정적으로는 당연해 보일지 몰라도 법적으로는 승소 가능성이 낮은 절차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법적 책임을 묻고자 한다면 감정적인 대응을 멈추고 철저히 증거에 기반한 법적 논리를 구성해야 합니다.


사건 전후로 상대방과 주고받은 메시지, 통화 내용, 제3자와의 대화 등을 모두 분석하여


상대방의 주장에 악의적인 의도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정황 증거를 찾아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신고 직전에 금전을 요구했거나 불리한 관계를 폭로하겠다고 협박한 정황 등이 있다면 이는 고의성을 입증하는 유력한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억울한 성범죄 혐의를 벗었다는 사실만으로 섣불리 역고소를 진행하는 것은 추가적인 시간과 비용, 감정의 소모를 낳을 가능성이 큽니다.


상대방에게 법적 책임을 묻고자 한다면 감정을 앞세우기보다 먼저 법률 전문가와 함께


자신이 확보한 증거로 무고죄의 엄격한 성립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을지 냉정하게 검토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f4d7c9d78fe718e2cabbdea11bac47ff_1757908894_9274.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