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습추행처벌 성립 요건부터 대응 방안까지 총정리
페이지 정보
법무법인동주본문
기습추행처벌 성립 요건부터 대응 방안까지 총정리
어떤 이유로든 낯선 사람의 몸에 닿는 일이 발생했을 때, 의도치 않은 접촉으로 큰 곤경에 처할 수 있습니다. 당황스럽고 혼란스러운 마음이 들 수밖에 없을 거예요. 어쩌다 이런 상황에 놓이게 되었는지,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지 막막하고 불안할 것입니다. 순간의 실수로 평범했던 일상이 완전히 뒤흔들릴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잠 못 이루는 분도 많을 텐데요. 이러한 갑작스러운 문제에 직면한 당신의 마음을 충분히 이해합니다. 과연 지금의 상황을 어떻게 헤쳐 나가야 할까요? 이 글은 당신이 직면한 상황의 실체와 대응 방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이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합니다.
기습추행처벌, 그 기준은 무엇일까요?
우선, 많은 분이 궁금해하는 기습추행처벌 기준을 알아봅시다. 형법 제298조에서는 폭행 또는 협박을 통해 다른 사람을 추행한 경우를 ‘강제추행’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기습추행'이라고 부르는 행동은 이 강제추행에 속하지요. 폭행 또는 협박이 없었더라도, 상대방의 의사에 반해 이루어진 신체 접촉은 강제추행으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법원 판례는 이러한 폭행을 ‘최협의의 폭행’이라고 표현하곤 합니다. 이 폭행은 상대방의 항거를 불가능하게 하거나 현저히 곤란하게 할 정도는 아니더라도, 상대방의 의사에 반해 이루어진 힘의 사용 자체를 의미합니다. 특히나 사람들이 붐비는 지하철이나 버스 같은 공공장소에서 발생하는 기습추행처벌을 두고 이런 표현이 자주 사용되곤 합니다.
상대방이 불쾌감만 느꼈다면 강제추행이 성립되나요? 아닙니다. 이 죄는 단순히 불쾌감만을 가지고 성립되지 않습니다. 상대방의 의사를 거스르는 유형력 행사가 있어야 하지요. 의사에 반하는 유형력 행사에는 성적인 수치심이나 혐오감을 유발하는 신체 접촉이 포함됩니다. 이것이 바로 강제추행의 핵심 요소입니다. 그렇다면 우발적으로 발생한 접촉은 모두 기습추행처벌 대상이 될까요? 예를 들어, 사람이 많은 곳에서 어깨를 치는 것만으로도 기습추행처벌을 받을 수 있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사회 통념상 성적 의미를 담고 있다고 인정되는 행위일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예를 들어, 상대방의 특정 신체 부위에 접촉하는 행위는 그러한 성적 의미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습추행처벌의 또 다른 중요 요소는 고의성입니다. 행위자에게 성적 목적이 있었는지가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되어요. 성적 목적이라는 것은 반드시 성적 흥분을 일으키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상대방에게 성적인 수치심이나 혐오감을 일으키려는 의도도 포함됩니다. 이 고의성은 사건 당시의 구체적 상황, 행위의 횟수와 방법, 행위 전후의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판단하지요. 이렇듯 기습추행처벌은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결정됩니다.
혐의가 있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사건 당시의 상황을 정확하게 떠올려보는 것입니다. 시간, 장소, 주변 환경, 상대방과의 상호작용 등 기억나는 모든 것을 기록해 두세요. 당신의 기억이 시간이 지나면서 흐릿해질 수 있으니, 최대한 빨리 상세하게 기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상대방이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 당신이 어떤 말을 했는지 등을 구체적으로 적어두면 좋습니다. 혹시라도 당시 상황을 목격한 사람이 있는지, 주변에 CCTV가 설치되어 있었는지도 확인해봐야 하지요. 이러한 정보들은 추후 당신의 입장을 증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사건 당시 상대방에게 즉시 사과하거나, 미안하다고 표현하는 것은 당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것처럼 비칠 수 있습니다. 상대방의 기분을 풀어주려 했던 행동이 오히려 불리한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혐의를 받는 입장에서는 어떤 말이나 행동을 해도 오해를 받을 수 있으니, 되도록 말을 아끼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현명합니다.
수사 과정에서도 진술을 할 때는 매우 신중해야 합니다. 수사관의 질문에 답하는 당신의 진술이 이후 재판 과정에서 중요한 증거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지요. 특히 당신이 말한 내용이 자칫 불리하게 해석될 여지가 없는지 꼼꼼하게 확인하고 진술해야 합니다. 모호한 진술은 오히려 불리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억이 잘 안 나요"라고 말하기보다는 "그 순간 너무 당황해서 정확하게 기억하지 못합니다"라고 말하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일 수 있습니다.
갑자기 기습추행처벌 혐의를 받게 되면, 모든 것이 끝났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절망하기보다는 현재 상황을 냉정하게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 글이 당신의 막막함을 조금이나마 덜어주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찾는 데 보탬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혼자 고민하며 섣부른 결정을 내리지 마시고, 전문가와 함께 논의하는 시간을 가져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