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주 매거진MAGAZINE

칼럼

강제추행미수 구공판 가기 전 불기소 처분 받은 케이스

페이지 정보

법무법인동주

본문

"강제추행미수“



1. 글을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법무법인 동주 11년차 성범죄전문변호사 조원진입니다.


AD_4nXfgsvIDb5tQx9jb7sLRGDYmFzXxxoh6kaIgOxD8qlmtmfMvcHbg6F3DPZUoV8fbFsG5SMvqUc68p6iykv-DXaDa7sxyp_ihUXlxM9llZ_EooflvZe27kVd-A0XKYELNkNLJjeoQIQ?key=1lGfgzHEUIbqnS9p1Dkr9w


이번 글은 제가 사건을 맡아 구공판 가기 전 불기소 기소유예 처분을 받아낸 강제추행미수 사건에 대한 내용입니다.



대부분 미수라고 생각하면 선처를 받을거라는 생각을 하십니다. 실제 상담을 진행하다보면 미수인데 왜 처벌을 받느냐라고 제게 반문을 하시는 분들도 정말 많은데요.

허나, 형법에 미수범 처벌 조항이 있는 경우에는 실제 범죄 실행의 결과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처벌 받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사례도 마찬가지로 실제 신체접촉을 하지는 않았지만 시도 한 행위만으로 처벌 받을 위기에 놓이셨습니다.

다만 빠른 조력 자문을 받으셔서 불기소 처분을 받으실 수 있었는데요. 자세한 내용 아래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


2. 사건의 경위


* 의뢰인 정보 보호를 위해 주요 사실관계는 각색되었습니다.

이 사건 의뢰인 A씨는 서울의 모 중견기업에 재직 중인 40대 팀장이셨습니다. 사건 당일에 퇴근 후 팀 동료들과 술자리를 가졌다고 하는데요.

당시 의뢰인 팀 내 진급한 부하 직원이 있어 축하하는 술자리였기에 분위기는 화기애애했고, 의뢰인 또한 많은 양의 술을 마셨다고 합니다. 그러던 중 의뢰인은 용변을 보기 위해 화장실로 이동했다고 하는데요.

거의 만취한 상태에 이른 의뢰인은 화장실 앞에서 마주친 피해자 B씨가 회사 동료인줄 착각하고 불편을 줄수 있는 신체접촉을 시도했는데요. B씨는 이를 즉각 거부하고 불쾌감을 표현했다고합니다.

결국 의뢰인의 회사 동료들이 이 모습을 목격하고 A씨를 즉각 제지했는데요. 허나 피해자 B씨는 의뢰인을 곧바로 경찰에 신고하였고 결국 의뢰인께서는 강제추행미수 경찰조사를 앞두고 저를 찾아주시게 되었습니다.


AD_4nXduQjEPxJKaagErz-QAjF_ZwNFT5DBC7mtQ7ASTr7ABOxK9Ofx3BLA3c5z2sQ10WIsyWtH6URB9aARR-BSOoOXjpIPzpPrqds0A8W0d5zyYJRjI4QmRlaD2zRlnqYdmU9BkskXk?key=1lGfgzHEUIbqnS9p1Dkr9w



3. 조력 드린 내용

의뢰인께서는 혐의를 인정하기 싫어하셨습니다. 저와 처음 상담을 진행할 때도 억울한 부분이 많다는 내용의 말을 해주셨는데요.

우선 저는 의뢰인께 억울하시겠지만 꼭 신체접촉이 있었던 것이 아니라도 미수의 행위만으로도 처벌 받을 수 있음을 설명드렸습니다. 그리고 최대한의 선처를 받기 위해서는 빠른 혐의 인정과 반성하는 모습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지시켜드렸는데요.

빠른 혐의 인정과 반성하는 모습을 어필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전략으로 대응을 시작했습니다.

1) 진지한 반성문 작성 조력

반성문이라고 하면 형식적으로 "잘못했다", "죄송하다"는 내용으로 작성하는 서류를 생각하는 분들이 계십니다. 허나, 단순히 잘못했다는 내용의 반성문으로는 선처를 받기 힘든 것이 현실인데요.

의뢰인의 사정과 상황이 잘 녹아든 반성문을 작성할 수 있도록 작성 조력을 진행했습니다. 의뢰인께서 해당 사안으로 벌금 이상의 형을 선고 받게 될 경우 현재 재직 중인 회사에서 해고될 수 있고, 한 집안의 가장인 의뢰인이 직장에서 해고될 경우 한 가정이 힘들어질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2) 재범 방지를 위한 노력 어필

재범을 저지르지 않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은 수사관, 법관으로 하여금 감형을 내릴 수 있는 근거를 만들어주게 되는데요.

다만, 단순히 다시는 이러한 재범을 저지르지 않겠다라는 말로는 의뢰인의 의지를 어필하기 힘들기 때문에 이를 뒷받침할 성폭력 예방 프로그램 이수, 심리상담치료 이수 기록을 제출할 수 있도록 도움을 드렸습니다.

3) 피해자와의 합의 성사

비록 강제추행미수사 사건이긴 하지만 피해자가 존재하고 결국 피해자에게 용서를 받아야 선처를 받을 수 있는 것은 분명했기에 피해자와 지속적인 접촉을 통해 합의를 이끌어냈습니다. 합의 끝에는 더이상 민형사상 고소를 제기하지 않겠다는 내용이 포함된 합의서와 의뢰인의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는 처벌불원서를 이끌어내어 감형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4. 사건의 결과

강제추행미수 사건도 강력 성범죄 중 하나에 속하기 때문에 무거운 징역형의 실형을 선고받을 수 있는 상황에서 불기소 전과가 남지 않는 기소유예 처분으로 사건을 잘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5. 글을 마치며

결국 기소유예로 전과가 남지 않는 처분으로 종결하면서 의뢰인께서는 평범한 일상으로 복귀하실 수 있었습니다.

이 사건이 주는 의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강제추행미수사건이라 하여도 경각심을 가지고 사건 초기부터 적극 대응에 나설 것.

둘째, 억울한 부분이 있더라도 전문가가 제시하는 방향을 믿고 따라 줄 것.

의뢰인 A씨의 경우 위 두부분을 모두 지켜주셨기 때문에 기소유예의 선처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말씀 드리겠습니다.

여기까지 글을 읽으시고 이와 비슷한 상황에 처해 계시거나 연관하여 궁금한 내용이 있는 분은 저에게 연락주시면 빠르게 회신 드리겠습니다.

이상 글 마치겠습니다. 조원진 변호사였습니다.


AD_4nXeRLVV8iGMNb-nWTZu6ezUnzkVUPjsiLsqKV9s_o9hIPQZGmQN4jB9fMFlzSwHoAMolY-2KjtiRaFIeHNSWGJvQcVPptFbmhY9c0eZTL2mts7HwgB_i2YjfZb8jP3dkNAf5BBxXsA?key=1lGfgzHEUIbqnS9p1Dkr9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