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주 매거진MAGAZINE

칼럼

수원 카촬죄 압수수색|압수수색 직후에도 기소유예 가능합니다

페이지 정보

법무법인동주

본문

수원 카촬죄 압수수색 대응법|압수 직후가 수사 흐름을 바꾸는 결정적 시점입니다.

  1. 수원 카촬죄 사건, 압수수색이 시작되면 이미 주요 피의선상에 오른 상태입니다

카메라 등 이용촬영죄는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성범죄로 분류되며, 수사 초기에 압수수색 영장이 발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수원지검과 경기남부경찰청은 SNS 기반의 딥페이크 범죄 등 신종 디지털 성범죄에 대한 수사 공조 체계를 강화하며 공동 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 일단 휴대전화나 저장장치에 대한 압수수색이 이뤄지면 이미 주요 혐의자 중 하나로 간주된 상태입니다. 이 시점부터는 법적 대응을 늦추는 것만으로도 수사 흐름이 급격히 불리하게 전개될 수 있습니다.

AD_4nXcuRLzTxO_uWoKFFlrYpcRwJv3-pQr13fiIIukQh8GK8WFrQjnn0SrutJ4IRtL93hrmcVNWRaLWiJSpYOVbm7fXyVAEfLNdd-k76IBLCHOKGpUJUbGvjmX489wPD8uENC4iboKsKQ?key=7x63LmAc4M3SYRe-IEN6P2Y1


AD_4nXdBPZSCdpUfhu98sIcgGInDWa28hg-6_bYsQxmV4DLuILEfU9BaNEx49XqUJXrwyb8_CxkkwI7shZZDbE4FbvJVI-4bCMBSVx1IX9pBNWsvmTCBOaJouLu8dbesR3yjLNGYM2zavg?key=7x63LmAc4M3SYRe-IEN6P2Y1


  1. 디지털 성범죄, 변호사 없이 대응하면 2차 가해와 여죄 추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수사기관은 확보된 디지털 기기의 포렌식 분석을 통해 단일 사건을 여러 건의 여죄로 확장하는 데 능숙합니다. 이 과정에서 의뢰인이 단독으로 진술하거나 합의 과정에서 불필요한 언행을 보이면, 피해자와의 마찰로 인해 2차 가해로 번질 가능성까지 존재합니다. 변호사가 없는 상태에서 진행된 카촬죄 사건은 불리한 진술의 반복으로 인해 형량이 급상승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수원법원종합청사 외부 전경
 

수원 카촬죄 압수수색 직후, 즉시 해야 할 대응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압수 물품 목록 확인 및 복사본 확보

  • 포렌식 분석 진행 여부 및 분석 범위 확인

  • 기기 비밀번호 제공 여부 판단

  • 진술 전 변호사와의 사전 상담 필수

압수 이후 변호인의 조력이 없다면, 조사 전 확보된 디지털 증거들이 의뢰인에게 불리한 방식으로 해석되기 쉽습니다. 초기 대응이 미비하면 향후 수사 대응은 통제 불가능해집니다.

▶ 5가지 질문으로 경찰예상질문 미리보기 [성범죄 자가진단]

불법촬영으로 압수수색을 받은 직후의 피의자에게 대응방법을 조언해주는 변호사의 모습
 



  1. 수원 카촬 혐의 압수수색 후, 법적 조력으로 기소유예 성공한 실제 사례

수원 지역 지하철에서 의뢰인이 여성의 치마 속을 촬영하던 중 현행범으로 제지되어 즉시 휴대전화 압수수색이 진행되었습니다. 해당 의뢰인은 사건 직후 법무법인 동주를 통해 변호인을 선임하였고, 사건의 경위를 정밀히 분석한 결과 여죄가 없다는 포렌식 소견에 맞춰, 경찰 조사 동행, 피해자와의 합의 조율, 처벌불원서 확보, 양형자료 수집 및 변호인의견서 제출 등을 일괄 수행하였습니다. 그 결과, 기소유예 처분을 이끌어내어 실형 없이 사건을 종결할 수 있었습니다.

▶압수수색 후 기소유예 성공사례 보기

수원에서 진행된 카촬죄 압수수색 후 기소유예 성공사례 판결문 모음
 


  1. 수원 카촬죄 압수수색, 늦어지면 실형 가능성 높아집니다

압수수색은 단순한 행정 절차가 아니라 수사 전개의 시작입니다. 기기의 모든 데이터를 뒤지는 디지털 포렌식은, 생각보다 많은 정보와 과거 기록을 끌어올립니다. 이 시점부터는 수사기관이 아닌 변호인이 의뢰인의 입장을 구성하고, 진술과 대응을 설계해야 합니다. 이미 압수수색을 받았다면, 지금 즉시 성범죄 전문 변호사와 법률상담을 진행해야만 기소나 실형이라는 최악의 결과를 피할 수 있습니다. 법적 조치는 빠를수록 효과적입니다.

동주 성범죄전문변호인단의 카촬죄 선처 유도 전략 흐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