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주 매거진MAGAZINE

칼럼

몰카포렌식 | 불법촬영 처벌 사례 | 기소유예 가능성

페이지 정보

법무법인동주

본문

몰카포렌식


AD_4nXejLsP1jwimDk2f9zldrCpca7Ef-anmDKVoqHoyQ3S1N9qfj2iPC7g2TUV04fYPFssXrzfjZPmmYGKOqm7F_BXW6pBIrUv4tt58yXk1x8aHYYLVEL-OC3Sa63UwfSZnYW9sI2-2?key=ZCQKc65kOsLOrnzr2AwDkA

AD_4nXdekUckfNAeBJZ98YlQ0hjO_ea0I8ObbJLP5tjtCQwg2h3L2z9bafK-4DL310Sc0Okc4OFyJdGYM5x4Wwk0uV9mLsDPIITQeCAficrWVM2NMV6W4amjTIwp8_9lO9ALy5FHuiDZOA?key=ZCQKc65kOsLOrnzr2AwDkA

몰카포렌식 분석 전, 꼭 알아야 할 대응 포인트



"몰카포렌식으로 얼마나 나올 수 있나요?"
"이걸 꼭 받아야 하나요? 거부하면 불이익 있나요?"


저를 찾아오시는 많은 분들이 가장 먼저 물으시는 질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불법촬영 혐의로 몰카포렌식 수사를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실제로 어떤 범위까지 수사되는지, 조사를 거부하면 생기는 영향은 어떤지 등에 대해 정리해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디지털 분석 없이 기소유예 처분을 이끌어낸 사례도 함께 소개해드립니다.


몰카포렌식, 어디까지 분석될 수 있나요?

이 질문은 단연 가장 많이 받는 내용 중 하나입니다.


실제 몰카포렌식 과정에서는 기기 내 저장공간은 물론, 클라우드 연동 여부, 삭제된 파일까지 분석 대상이 됩니다.


과거에 깔았던 앱, 다운로드했던 이미지, 이미 지운 영상 파일들도 복구 가능성이 있고, 심지어 폴더명이나 검색어 기록까지 추적될 수 있습니다.



몰카포렌식, 반드시 받아야 하나요?

결론부터 말하면, 포렌식 자체를 거부할 권리는 있습니다.

하지만 거부를 해도 담당 기관에선 압수수색을 하여 몰카포렌식을 강제로 진행하게 됩니다. 


그래서 현실적으로는 수락 여부가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단순 거부만으로 조사를 피하는 건 어렵습니다.


AD_4nXeRJJ5lCUJsn5iZQ7LFgUWexYwPawUjWI4KfMQQZ4upo0xghPaMa2VbXwyP6y_joTCLdztMJUqWfEinDb3RiQSkQBaHkRPfyB05moTgvr2JYcWEzISz3HdeBDmg2JwSTbkC8Odpdw?key=ZCQKc65kOsLOrnzr2AwDkA


거부하면 상황이 나빠지나요?

몰카포렌식을 거절했다고 해서 곧바로 더 무거운 처벌로 이어지는 건 아닙니다. 


하지만 정당한 사유 없이 거부하는 경우, 수사기관 입장에서는 의심의 여지가 생기게 됩니다. 


"혹시 감추려는 뭔가가 있지 않나?"라는 판단 아래, 조사 태도나 진술 신빙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은 고려하셔야 합니다.


몰카포렌식 없이 기소유예로 끝난 실제 사례

한 번은 지하철에서 불법촬영 혐의로 신고당한 남성 의뢰인을 맡은 적이 있습니다. 


퇴근 후 지하철에서 휴대폰을 들고 있다가 무음촬영 앱을 작동시키는 바람에 찰칵 소리가 나면서 상대 여성에게 들킨 사건이었습니다.


경찰은 휴대폰을 압수하려 했고, 곧 몰카포렌식 절차를 진행하려 했습니다. 


하지만 의뢰인은 디지털 분석만큼은 피하고 싶다고 요청하였고, 저는 수사 초기부터 동행해 포렌식 불요 사유를 설득했습니다.


  • 증거인멸 가능성이 없다는 점,

  • 자진 제출한 사진 및 영상만으로 충분하다는 점,

  • 수사기관의 목적을 벗어난 사생활 침해 우려를 조목조목 전달했죠.

결과적으로 몰카포렌식 절차 없이 경찰조사가 마무리되었고, 의뢰인은 기소유예 처분을 받았습니다. 불필요한 디지털 수사를 피하면서도 수사 방향을 안정적으로 유도한 사례였습니다.



몰카포렌식 대응,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요?

디지털 분석을 받는다고 해서 무조건 처벌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몰카포렌식 결과가 불리한 방향으로 해석되지 않도록 사전에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수사기관은 때때로 범죄와 관계없는 자료까지 들여다보려 할 수 있습니다. 이때 전문가가 개입하면 수사의 범위를 합리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사생활 침해를 막고, 사건의 본질만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


또한 몰카포렌식을 거부하고 싶다면, 그에 상응하는 이유와 정황을 조리 있게 설명해야 합니다. 단순히 “하고 싶지 않다”는 말로는 설득력을 얻기 어렵습니다.



그 설명이 합리적일수록, 수사기관도 별도의 분석 없이 사건을 마무리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수사기관 입장에서는 보편적인 디지털 증거 확보 수단일 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무작정 피하거나, 무조건 응하거나, 단순한 대응으로는 좋은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몰카포렌식의 실질적 의미와 수사 목적을 이해한 뒤, 본인에게 맞는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불안한 상태로 시간을 보내기보다, 합리적인 방향을 정리해보는 것이 우선일 수 있습니다.


AD_4nXdekUckfNAeBJZ98YlQ0hjO_ea0I8ObbJLP5tjtCQwg2h3L2z9bafK-4DL310Sc0Okc4OFyJdGYM5x4Wwk0uV9mLsDPIITQeCAficrWVM2NMV6W4amjTIwp8_9lO9ALy5FHuiDZOA?key=ZCQKc65kOsLOrnzr2AwDkA

AD_4nXejLsP1jwimDk2f9zldrCpca7Ef-anmDKVoqHoyQ3S1N9qfj2iPC7g2TUV04fYPFssXrzfjZPmmYGKOqm7F_BXW6pBIrUv4tt58yXk1x8aHYYLVEL-OC3Sa63UwfSZnYW9sI2-2?key=ZCQKc65kOsLOrnzr2AwDk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