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주 매거진MAGAZINE

칼럼
성매수자처벌 | 미성년자조건만남, 아청법 위반으로 실형까지
법무법인동주
본문

성매수자처벌
 


조건만남이나 채팅 앱을 통해 만난 상대가 미성년자일 경우, 많은 분들이 금전적인 거래는 없었다며 안일하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가출 청소년에게 잠잘 곳을 마련해주는 등의 선의가 성매수자처벌이라는 무거운 법적 책임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는 듯한데요.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은 성매매의 대가를 매우 넓게 해석하고 있으니 조심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성매수 혐의로 수사를 받게 되었을 때 반드시 알아야 할 법적 기준과 현실적인 감형 전략을 제시해 드리겠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Q. 미성년자와 조건만남을 하면 무조건 처벌되나요?

A. 청소년임을 인지하고 용돈, 기프티콘 등 대가를 제공했다면 아청법에 따라 처벌됩니다. 실제 성관계 여부와 무관하게 성매매를 권유하는 행위만으로도 범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Q. 금전 없이 숙식만 제공해도 성매매로 간주되나요?

A. 그렇습니다. 법원은 금전뿐만 아니라 숙식, 의류, 교통비 제공 등 모든 형태의 경제적 이익을 성매매의 '대가'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Q. 성매수자도 선처 받을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초범이라는 사실과 더불어, 진심 어린 반성의 태도, 재범 방지를 위한 구체적인 노력(성 인식 개선 교육 이수 등)을 입증하면 감형이나 선처를 받을 수 있습니다.


f4d7c9d78fe718e2cabbdea11bac47ff_1757908895_11.jpg


'대가'의 범위, 어디까지 인정되나

성매수자처벌 기준에서 가장 큰 쟁점은 '대가성'입니다. 많은 피의자분들께서 현금을 주고받지 않았다는 이유로 혐의를 부인하려 하는데요. 이는 위험한 생각입니다.

아청법상 성매매는 아동·청소년에게 금품이나 그 밖의 재산상 이익, 직무, 편의제공 등 대가를 약속하고 성을 사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여기서 핵심은 '그 밖의 재산상 이익'과 '편의제공'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숙식 제공: 가출 청소년에게 모텔이나 자신의 집 등 잠잘 곳을 마련해주는 행위는 명백한 대가로 인정됩니다.

  • 기타 편의: 음식, 의류, 교통비 등을 지원하는 것 역시 판례상 성매매의 대가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사정이 딱해 재워주기만 했다”는 진술만으로는 참작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행위가 성관계의 전제로 깔려 있다면 성매수자처벌 대상으로 무거운 책임을 지게 된다는 점 잊어서는 안 되겠습니다.


b2f4f4cc4f068a11f90f383fb360b8d1_1761028033_3325.png


아청법에 따른 처벌 수위 및 법적 쟁점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성매수는 아청법에 따라 매우 무겁게 처벌됩니다.

  • 청소년 성매수: 1년 이상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상 5천만 원 이하의 벌금

  • 유인·권유: 실제 성관계 없이 성매매를 하도록 유인하거나 권유만 했더라도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

수사 과정에서는 고의성이 중요한 쟁점이 되는데요. 즉, 상대방이 청소년임을 알고 있었는지가 처벌의 중요한 기준이 되는 것입니다.

다만 "미성년자인 줄 몰랐다"는 주장이 쉽게 받아들여지지는 않습니다.

상대방의 외모나 행동, 대화 내용 등을 통해 미성년자임을 충분히 의심할 수 있었음에도 이를 확인하려는 노력을 게을리했다면 미필적 고의가 인정되어 유죄 판결을 받을 수 있습니다.




b2f4f4cc4f068a11f90f383fb360b8d1_1761028050_5009.png
 



실형을 피하기 위한 현실적 대응 전략

성매수자처벌 혐의가 명백하다면, 무리하게 혐의를 부인하기보다 감형과 선처를 목표로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 초기 진술의 중요성: 경찰의 첫 조사에서부터 진술은 일관되어야 합니다. 상대방이 나이를 속였다거나 성인처럼 보였다는 정황이 있다면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은 객관적 증거 없이는 받아들여지기 어렵습니다.


  • 진심 어린 반성과 재범 방지 노력: 감형을 위해서는 반성의 진정성을 보여주는 것이 핵심입니다. 단순히 반성문을 제출하는 것을 넘어, 다음과 같은 객관적인 자료를 통해 재범 의지가 없음을 입증해야 합니다.


  • 성 인식 개선 교육 이수 증명서

  • 정신과 또는 심리 상담 확인서

  • 가족 및 지인의 탄원서

  • 피해자와의 합의 (가능한 경우)


이러한 양형자료는 개인이 혼자 준비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법무법인 동주는 성매수 사건에서 체계적인 양형자료 준비와 변론을 통해 최선의 선처를 받을 수 있도록 조력한 경험을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혐의에 연루되었다면 혼자 고민하며 시간을 허비해서는 안 됩니다. 골든타임 안에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만 성매수자처벌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음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f4d7c9d78fe718e2cabbdea11bac47ff_1757908894_9274.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