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주 매거진MAGAZINE

칼럼

강제구강성교 처벌기준|유사강간or강제추행 형량이 달라집니다

페이지 정보

법무법인동주

본문

유사강간과 강제추행, 어떤 혐의가 적용되는지에 따라 형량이 달라집니다


유사성행위로 신고된 경우, 유사강간죄와 강제추행죄 중 어떤 혐의가 적용되느냐에 따라 형량과 대응전략, 진술의 방향성까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유사성행위의 처벌기준을 중심으로, 혐의 구분 기준과 실형 가능성, 초기 대응 전략까지 실무적으로 안내드립니다.

자주묻는질문(FAQ)

FAQ

Q1. 강제로 구강성교를 한 경우, 어떤 죄로 처벌되나요?

Q2. 유사강간죄와 강제추행죄는 어떤 기준으로 구분되나요?

Q3. 어떤 혐의가 적용되는지에 따라 처벌 수위가 달라지나요?


Q1. 강제로 구강성교를 한 경우, 어떤 죄로 처벌되나요?

강제로 유사성행위를 했다면 통상 유사강간죄로 처벌되며, 경우에 따라 강제추행죄로 구성되기도 합니다.


우선, 유사강간은 형법 제297조의2에 따라 2년 이상의 징역형이 선고될 수 있는 중범죄입니다.

형법상 유사강간은 성기간의 삽입이 아닌, 구강, 항문 등의 신체 내부에 성기를 넣은 성행위를 처벌하는 규정입니다.

이 외에도 성기, 항문에 손가락 등 신체의 일부 또는 도구를 넣는 행위 또한 처벌할 것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즉, 성기간의 직접 삽입이 없었다고 해도 명확하게 처벌이 가능한 규정이 있는 것입니다.

처벌 수위 또한 벌금형 없는 징역형만이 규정되어 있고, 최소 2년 이상의 징역형이 내려질 수 있는 사안이라 성범죄 중에서도 심각성이 큰 사안에 해당됩니다.

AD_4nXckgxe-dlvVHoWoeMdDZB8huC2SSe5M0cQiLZmgvQ32B0Qg2WYUUyYN5N1jZpGk44Z-TeyRqOg-EDtjajPtU4ulVWI8UkZVmFFW0WTIl747fgc8830ZAMX0BR7GIJPYej2v_IKs7w?key=7x63LmAc4M3SYRe-IEN6P2Y1


AD_4nXdIp8avoRXal_aNu3djfIftWGTrI2wO55lC8DV9IJRiKFVIRhPnqlfhPHVRkCXdcFFMGXZVqk-vfEquqLD1JjSj1EiQbVkuMyVW1otynrhDLYNrqt2Je9wXt2cX6bCKeZ_nGyFuIg?key=7x63LmAc4M3SYRe-IEN6P2Y1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강제추행죄로 판단될 수도 있는데요. 

이 경우 유사강간 혐의가 적용되어 수사와 처벌이 이루어지는 것에 비해 선처를 끌어낼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집니다.


단, 강제추행과 유사강간 각 혐의의 성립요건, 법적 쟁점 등에는 분명한 차이점이 있기에 

법리적으로 어떻게 해석할지에 따라 대응 전략도 달라져야 합니다. 


지금 단계에서 필요한 것은 

  • 의뢰인의 사건에 유사강간 혐의가 적용되는 것이 맞는지,

  • 강제추행 혐의가 적용되도록 유도할 수 있을지,

  • 법리적 해석에 따라 어떤 대응 전략이 필요한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의뢰인의 혐의 사실을 검토중인 이세환변호사
 

※ 경찰조사 대비 체크리스트

  •  피해자와의 관계 및 의사 확인 증거 확보 (카톡, 통화 녹취 등)

  •  강제성 유무와 당시 상황 정리 (메모 형태로 문서화)

  •  수사기관 출석 전 법률 상담 필수

  •  피해자 진술 일관성 분석

  •  신속한 반성문·진정서 제출 여부 검토

  •  재범 방지 노력 자료(심리상담, 교육 수강 등) 마련

5가지 질문만으로 현 상황 자가진단

10분의 법률상담으로 피의자가 확인할 수 있는 법률자문 내용
 

Q2. 유사강간죄와 강제추행죄는 어떤 기준으로 구분되나요?

유사성행위에 해당하는 행위가 유사강간죄인지, 강제추행죄인지의 판단 기준은 

구체적인 신체적 접촉의 부위, 성행위 당시의 정황, 확보 가능한 증거의 유무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 피의자의 진술

  • 피해자의 진술

  • 사건 당시의 정황

  • 양측의 대화 내용

  • 당시 피해자측과의 관계 등 

구체적인 사실관계에 따라 적용되는 법조항이 달라진다는 점입니다.

AD_4nXdIp8avoRXal_aNu3djfIftWGTrI2wO55lC8DV9IJRiKFVIRhPnqlfhPHVRkCXdcFFMGXZVqk-vfEquqLD1JjSj1EiQbVkuMyVW1otynrhDLYNrqt2Je9wXt2cX6bCKeZ_nGyFuIg?key=7x63LmAc4M3SYRe-IEN6P2Y1


유사강간죄는 형법상 강간죄와 유사한 형량과 중대성을 갖는 범죄로,

성기간의 삽입 행위가 없었더라도 그에 준하는 처벌이 내려질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유사성행위에는 구강성교, 항문성교, 손가락 또는 기타 도구를 이용한 강제적 접촉 등이 포함됩니다. 


반면, 강제추행죄는 피해자의 의사에 반해 성적 수치심을 유발하는 신체접촉을 한 경우에 적용됩니다. 

마찬가지로 직접적인 성기간의 삽입 행위는 없지만, 

입맞춤이나 특정 부위 만지기 등 강제적인 신체접촉이 모두 포함됩니다.


법률 조항으로만 확인했을 때에는 혐의가 적용되는 사례에 분명한 차이점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무상으로는 경계가 애매한 사례가 많습니다.

현재 혐의가 정확히 어떤 죄로 구성되는지를 법리적으로 정밀하게 검토하지 않으면, 

실제보다 훨씬 무거운 형을 선고받게 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선처 또는 감형을 위해서는 반드시 성범죄전문변호사를 통한 사건의 검토가 필요합니다.

조금이라도 의뢰인에게 상황을 유리하게 이끌 수 있는 요소가 있는지 확인한다면 그에 따른 결과의 차이는 생각보다 큽니다.


현재 고소가 이루어진 사안에 대해 애매한 부분이 있거나, 

✓ 선처를 위한 돌파구가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시다면 법률상담부터 받아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대한변호사협회에 공식 등록된 성범죄전문변호사와의 1:1 상담은 의뢰인이 보지 못한 해결책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동주 실제 성공사례 확인

유사성행위 혐의 관련 기소유예 성공사례 판결문 예시
 

Q3. 어떤 혐의가 적용되는지에 따라 처벌 수위가 달라지나요?

두 범죄의 성립요건은 물론, 형사처벌 수위와 처벌의 가능성, 그로 인한 추가적인 불이익 여부는 완전히 다릅니다.


그리고 당연하게도, 피의자의 대응 방식 또한 완전히 달라져야 합니다.

※ 처벌기준 비교 표 (유사강간 vs 강제추행)

항목

유사강간죄

강제추행죄

법적 구성요건

폭행·협박

대표 사례

강제 구강성교, 항문성교 등

억지 입맞춤, 특정 부위 만지기 등

법조항

형법 제297조의2

형법 제298조

법정형

2년 이상 징역

10년 이하 징역 또는 1,500만 원 벌금


유사성행위 사건은 유사강간과 강제추행 사이에 놓인 애매한 법리 구조로 인해, 처벌기준 해석과 적용이 의뢰인에게 핵심이 됩니다.


사건의 방향성은 초기 수사 단계에 빠르게 정해지기 때문에 수사기관이 어떤 혐의로 방향을 잡고 있는지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혐의 조정을 위한 법률적 대응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합니다.


혐의가 명확히 확정되기 전이라면

의뢰인의 진술 또는 법률대리인의 의견에 따라 수사기관의 법적 판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결국 유사성행위 처벌기준은 단순히 행위 유무가 아니라, 

법률상 어떤 범죄 유형에 해당하는지를 중심으로 결정되는 것입니다.

초기에 의뢰인에게 불리하게 사건이 흘러간다면, 이를 뒤바꾸기란 어렵습니다.

그렇기에 처음부터 논리적으로 판단하여 사건이 조기에 종결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이 최선입니다.

의뢰인의 경찰조사에 동행하여 유사성행위의 처벌기준에 대해 검토하는 이세환변호사